728x90
반응형
| 서버 시작 메인 파일 작성하기
backend / server.js
백엔드 서버를 시작하고 여러 미들웨어나 설정을 등록하는 파일이다. 코드에 주석을 참고하면 된다.
// backend/server.js
const express = require('express');
const dotenv = require('dotenv');
const connectDB = require('./config/db');
const authRoutes = require('./routes/authRoutes');
const postRoutes = require('./routes/postRoutes');
const errorHandler = require('./middleware/errorHandler');
const cors = require('cors');
// 환경변수 로드
dotenv.config();
// DB 연결
connectDB();
// 앱 초기화
const app = express();
// 미들웨어 등록
app.use(cors());
app.use(express.json()); // JSON Body 파싱
// 라우트 등록
app.use('/api/auth', authRoutes);
app.use('/api/posts', postRoutes);
// 에러 처리 미들웨어
app.use(errorHandler);
// 포트 설정 및 서버 실행
const PORT = process.env.PORT || 5000;
app.listen(PORT, () => {
console.log(`Server running on port ${PORT}`);
});
| 환경변수 파일 작성하기
backend / .env
PORT=5000
MONGO_URI=your_mongodb_connection_string
JWT_SECRET=your_jwt_secret_key
your_mongodb_connection_string : 실제 MongoDB 연결 주소. (MongoDB Atlas를 쓰거나 로컬 MongoDB 주소를 입력)
your_jwt_secret_key : 아무 복잡한 랜덤 문자열 넣으면 됨. 예: mysecretkey123!
| Nodemon 개발 스크립트 추가
backend / package.json
파일을 열어 "scripts" 부분에 "start"와 "dev"를 설정하고 서버를 실행시킬 때 dev를 사용하면 nodemon이 자동으로 코드에 변화가 있을 때마다 재시작해서 개발시에 편리하다.
nodemon 설치를 하지 않았다면 여기 참고
728x90
반응형
'STUDY > Projec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NodeJS, MongoDB, react 회원가입, 로그인, 게시판 구현 플로우 (0) | 2025.04.30 |
---|---|
회원가입, 로그인 로직 - User, authController, authRoutes (0) | 2025.04.30 |
MongoDB연결 파일 작성 및 서버 실행하기 (0) | 2025.04.29 |
nodejs react 프로젝트 기본 구조 구성 및 설치 (0) | 2025.04.28 |
프로젝트 폴더 구조 구성하기 (0) | 2025.04.26 |